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존의 생각과 바뀐 생각 1) 기존의 생각 – 선별적 복지 2) 바뀐 생각 – 보편적 복지 2. 바뀌게 된 이유 1) 우리나라에서 복지정책의 현실 2) 원래의 생각 - 선택적 복지에 지지 3) 바뀐 생각 - 보편적 복지에 찬성 3. 바뀌고 나서 변화된 자신의 태도와 실천 1) 수혜 가능성의 여부에 따른 변화 2) 남녀노소의 여부에 따른 변화 3) 교육을 통한 신분 획득에 의한 변화 4) 거주지역에 따른 변화 5)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변화 6) 규범과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변화 Ⅲ. 결론 본문 -서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는 21세기에 들어와서 많은 성장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지금의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역부족이라는 것이 대다수의 견해다. 저출산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보육과 육아에 대한 부담감으로 들고 있다. 예전에는 결혼을 하면 당연히 아이를 2명 이상을 가지는 것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1명 정도로 만족하거나 아예 결혼을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점점 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하여 노인들은 점점 수가 많아지고 있다. 이런 현상으로 노동에 참여해야 할 인구층이 부족하기 때문에 앞으로 커다란 인력난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복지정책으로 해결해야 하지만 보편적 복지나 선별적 복지 등의 수혜자의 선택에도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본론 1. 기존의 생각과 바뀐 생각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를 개념정의하기 위한 두 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복지정책이 적용되는 시민의 범위라는 기준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당연히 두 가지 구분이 가능해진다. 하나는 전체인구를 포괄하는 정책으로서 보편적 복지정책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의 제한된 집단에 적용되는 선별적 복지정책이다. 둘째로 어떻게 급여와 서비스가 배분되는가와 관련된 기준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구체화된 권리의 형태를 가지고 제공되는 지원, 즉 보편적 배분과 어떤 형태의 필요검사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 즉 선별적 배분이 구별된다. 참고문헌 강혜규 외,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자중심 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 김사현, 개인의 주관적 인식이 복지제도의 보편성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효과, 사회복지연구, 2010. 김사현․홍경준,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서울시민의 복지태도 연구, 사회복지정책, 2010. 김영순․여유진, 한국인의 복지태도, 경제와 사회, 2011. 김용하, 보편적복지와 선별적복지의 조화적 발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김윤태,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 프레시안, 2015. 김은지․안상훈, 한국 복지정치의 젠더메커니즘, 사회복지연구, 41권 2호, 2010. 류만희․최영,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9. 백정미 외, 복지인식 구조의 국가 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2008. 서재욱․김윤태, 이중화와 복지태도, 사회복지정책, 2014. 신광영 외. 대한민국 복지 7가지 거짓과 진실, 두리미디어, 2011. 안상훈, 친복지동맹의 복지지위균열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 2003. 윤홍식, 보편주의를 둘러싼 주요쟁점, 한국사회복지학, 2011. 이중섭,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009. 전영준 외, 복지패러다임 전환의 경제적 효과, 2013. 조영훈, 변화하는 세계, 변화하는 복지국가, 집문당, 2004. 주은선․백정미,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사회복지연구, 2007. 하고 싶은 말 방톧대 사회복지개론 과제물입니다. 사회복지에 대한 입장을 보편적 사회복지와 선별적 사회복지로 나누어 분석했습니다. 두가지 복지에 대한 주요 특징을 요약해서 작성했으니 입장변화에 대한 견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사회복지개론을 통한 복지태도의 변화에 대해서 6가지 상황 별로 분석했습니다. 누구나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적용하면 될 듯 합니다. 출처는 본문에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여 좋은 결과 받으세요. 키워드 사회복지개론, 보편적 사회복지, 선별적 사회복지, 가난은 나라도 구하지 못한다, 빈곤은 국가의 책임 |
joofight77
2019년 4월 2일 화요일
사회복지개론 한국사람들은 보통 ‘가난은 나라도 구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보편적 사회복지는 ‘빈곤은 국가의 책임’이라는 입장을 갖는다 사회복지에 대한상식의 변화
사회복지개론 한국사람들은 보통 '가난은 나라도 구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보편적 사회복지는 '빈곤은 국가의 책임'이라는 입장을 갖는다 사회복지에 대한상식의 변화
현재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이 어떻게 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리적으로
현재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이 어떻게 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리적으로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 2.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사회문제 3. 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 I. 서 론 자기결정권은 어떤 측면에서나 당연한 것이기에 이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자기결정권이 '자기결정권'이라는 이름으로 주장되고 있는 것에는 그 나름의 이유가 있다. 오늘날의 자기결정권 개념은 이하에서 보게 될 현대적 배경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결정권을 과거의 자율성 담론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만약 이것을 간과하고 자기결정권을 기존의 자율성 담론과 동일한 것으로 치부해버리면 우리는 이 개념 속에 담겨있는 현대적 함의를 간과하게 된다. 자기결정권이 오늘날 강조되고 있는 한 가지 이유는 바로 인간의 자율성에 대한 현대의 사회구조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에 있다. 현대에 이르러 나타난 일련의 사건들은 국가의 힘을 강력하게 만들었고, 이는 개인의 자율성에 대한 위협이 되어 왔다. 또한 오늘날의 발전된 기술은 과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영역에서도 인간의 활동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고 현대인들은 이 영역에서도 자율적인 판단을 하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이 어떻게 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리적으로 서술해 보겠다. 참고문헌 김고연주, 나의 첫 젠더 수업, 창비, 2017. 장애여성공감, 어쩌면 이상한 몸-장애여성의 노동, 관계, 고통, 쾌락에 대하여, 오월의봄, 2018. 여성가족부.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일 가정 양립 지원 정책 더욱 가속화. 2015, 1, 21.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여성학 : 행복한 시작, 신정, 2014, p.175. 이제상,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른 출산율의 결정요인과 양성평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하고 싶은 말 - 사회복지학과 4학년 사회문제론 C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사회문제론, 몸과관련된권리, 사회문제로풀어가는해법, 방송통신대 |
(사회문제론 C형)현재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이 어떻게 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지 설명하시오
(사회문제론 C형)현재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이 어떻게 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지 설명하시오
목차 1.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의 사회문제 2.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의 사회문제의 구체적인 사례 3. 몸과 관련된 권리들을 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 4. 나의 첫 젠더 수업을 읽고 5. 참고문헌 본문 1.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의 사회문제 1) 성소수자 문제 동성애자를 성적소수자(minority)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은 차별의 문제를 권리의 문제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 그동안 동성애자란 용어를 사용할 때는 도덕적 혹은 정신적 결함이 있지 않음을 설명하고 증명해야 했지만 성적소수자로 접근하게, 되면 이성애자와 동등한 권리의 추구가 또 다른 '이성애주의'의 질서 안으로 재편되어버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긴 하지만 이성애자와 동등한 시민권 획득의 문제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동성애자들에 대한 고정관념은 사회 구성원 다수에게 다양하게 퍼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로써 생성된 동성애 혐오증은 차별을 더욱 조장하고 혐오범죄로까지 이어짐으로 사회에서의 생활을 용인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성애 혐오증(homophobia, 혹은 공포증)이란, 이성애적 틀이 내면화된 결과로 동성애자들의 생활이나 사고구조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동성애 혐오증은 1967년에 심리치료사이며 작가였던 웨인버그(George Weinberg)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그는 동성애 공포증은 고소공포증 환자가 높은 곳을 바라보거나 올라가는 것을 상상하기만 해도 두려워하듯이, 동성애 공포증의 소유자는 누군가가 동성애라는 사실을 알게 되거나 동성애자가, 눈에 보이거나 회상되기만 해도 다른 공포증처럼 강박적이고 비합리적 특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동성애 혐오증(homophobia) 현상은 다양한 이유가 있다. 참고문헌 김태용.2012.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재신, 한성열 (2004).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공정과 인정의 갈등상황에서의 판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김정인, 손영미, 김효창 (2006). 성별 및 성희롱 경험에 따른 성희롱 통념과 성역할 관련 태도들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하고 싶은 말 사회복지학과 4학년 사회문제론 C형 현재 한국사회에서 몸과 관련된 권리들이 어떻게 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사회문제로서 풀어가는 해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을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사회문제론, 몸과관련된권리, 사회문제로풀어가는해법, 방송통신대 |
한국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을 서술하되, 사회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주의하면서 사회문제로서 환경문제를 풀어간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
한국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을 서술하되, 사회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주의하면서 사회문제로서 환경문제를 풀어간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 2. 문제의 해결 방안 3. 사회문제로서 환경문제를 풀어간다는 말의 의미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 I. 서 론 본래 자연 환경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생성된 환경오염 물질을 받아서 인간에게 해롭지 않은 형태로 전환시키는 자정(自靜) 능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자연의 자정 능력을 양적으로 초과하는 엄청난 양의 오염물질이 유입되거나, 자연이 스스로 정화시킬 수 없을 만큼 독성이 강한 유독 화합 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자연의 자정 능력은 파괴되고, 그 결과로 자연은 균형을 잃어버리게 되어 각종 문제들이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을 가리켜 환경오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2017년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착수했던 일은 4대강 사업의 재평가와 탈원전을 위한 작업이었다. 최근 환경영향 재평가와 토론회 등을 거치면서 4대강의 보를 개방했으며, 원자력발전소의 폐기는 이루지 못했지만 새로운 원자력발전소의 신규건설은 중지시켰다. 그러한 일들이 중요하게 대두된 이유는 정치적인 것에도 기인하겠지만, 우리나라도 환경, 생태의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지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을 서술하되, 사회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주의하면서 사회문제로서 환경문제를 풀어간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지 논해 보겠다. 참고문헌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에코리브르, 2011. 제러미 리프킨, 육식의 종말, 시공사, 2002. 박정연, 『침묵의 봄』의 배경과 과학 커뮤니케이션,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보건복지부,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2018, 1, 25. 이현우 외, 중장기 생물 다양성 전략 추진체계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하고 싶은 말 경영학과 4학년 사회문제론 E형 한국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을 서술하되, 사회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주의하면서 사회문제로서 환경문제를 풀어간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지 논하시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사회문제론, 환경문제, 환경문제가나타나는양상, 환경문제를풀어간다는말의의미 |
(유아건강교육) 0-1세 표준보육과정과 만 2세의 내용범주 중 ‘안전하게 생활하기’의 내용 및 수준별 세부내용을 비교?분석하시오. 비교?분석 시, 그 차이가 드러나도록 적절한 예를
(유아건강교육) 0-1세 표준보육과정과 만 2세의 내용범주 중 '안전하게 생활하기'의 내용 및 수준별 세부내용을 비교?분석하시오. 비교?분석 시, 그 차이가 드러나도록 적절한 예를
목차 1. 만 0-1세 표준보육과정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분석 2.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분석 3. 만 0-1세와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비교 4. 참고문헌 본문 ② 내용범주 중 '안전하게 생활하기'의 세부내용 만 2세 영아에 대한 안전한 생활에서의 수준별 세부 내용은 놀이규칙에 따라 안전하게 놀이하기에서는 1수준과 2수준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1수준에서는 규칙이 있음을 알고 2수준에서는 규칙에 따라 놀이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놀이기구와 놀잇감을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에서는 1-2수준까지 구분을 두지 않는다. 위험한 상황을 알고 조심하기는 1-2수준까지 구분을 두지 않고 시설물로 인한 위험을 알고, 화재의 위험을 알고 조심하기, 위험물질을 알고 만지거나 먹지 않기로 내용이 수준과는 상관없이 구분되어 있다. 탈것의 위험을 알고 안전하게 다니기에서는 1수준과 2수준이 구분되어 있으며 1수준에서는 탈것의 위험을 알고, 신호등의 의미를 알며, 2수준에서는 예방적 차원에서 탈것의 위험을 알고 조심하기, 신호등의 신호에 맞춰 성인과 함께 횡당보도 건너기로 내용이 세분화 되어 있다. 참고문헌 1) 좌승화(2017), 영유아 건강교육, 창지사 2) 서영숙 외 공저(2017), 보육과정, 공동체 3) 문혁준(2016), 영유아 건강교육, 창지사 4) 김혜경(2014), 영유아건강교육, 공동체 5) 김현경 저(2013), 어린이집 만2세 표준보육과정과 만3세 누리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영옥 외 공저(2010),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구성, 공동체, p466-467 7) 김영심 외 공저(2010), 영유아건강교육, 창지사, p26, p31 하고 싶은 말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건강교육 A형 만 0-1세 표준보육과정과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의 내용범주 중 '안전하게 생활하기'의 내용 및 수준별 세부내용을 비교?분석하시오. 비교?분석 시, 그 차이가 드러나도록 적절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유아건강교육, 표준교육, 표준교육과정, 안전하게생활하기, 방송통신대 |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61회 62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61회 62회 한문 및 한글번역
목차 第六十一回 困梁宮君王餓死 攻湘州叔侄尋仇 제육십일회 곤양궁군왕아사 공상주숙질심구 第六十二回 取公主侯景脅君 ?帝祚高洋竊國 제육십이회 취공주후경협군 찬제조고양절국 본문 却說侯景僞傳?命, 解散援軍, 邵陵王綸等, 大開軍事會議, 推柳仲禮主決。 각설후경위전칙명 해산원군 소릉왕륜등 대개군사회의 추류중례주결 각설하고 후경은 위조된 칙명을 전해 지원군을 해산시키고 소릉왕 소륜등은 크게 군사회의를 열어 류중례를 주 결정자로 추대했다. 綸語仲禮道:"今日事悉委將軍, 請將軍酌定進止。" 륜어중례도 금일사실위장군 청장군작정진지 酌定 zhu?d?ng (상황 사정을) 참작하여 결정하다 소륜이 류중례에게 말했다. "오늘 일을 모두 장군에게 맡기니 장군께서 진격할지 중지할지 참작해 결정하십시오." 仲禮熟視不答, 裴之高、王僧辯齊聲道:"將軍擁衆百萬, 坐致宮闕淪沒, 居心何忍!現只好竭力決戰, 何必多疑!" 중례숙시부답 배지고 왕승변제성도 장군옹중백만 좌치궁궐윤몰 거심하인 현지호갈력결전 하필다의 淪沒:쇠하여 없어짐 류중례가 깊이 생각하고 대답을 안하니 배지고와 왕승변이 일제히 말했다. "장군께서 백만군사를 거느리고 앉아서 궁궐이 없어지게 하니 마음이 차마 그러하십니까? 현재 부득불 힘을 다해 결전하지 하필 의심이 많습니까?" 仲禮竟無一言, 諸軍遂陸續散歸。 중례경무일언 제군수육속산귀 류 례가 마침내 한 말도 없어 여러 군사가 곧 계속 흩어져 돌아갔다. 邵陵王綸, 亦奔往會稽。 소릉왕륜 역분왕회계 소릉왕 소륜도 또 회계로 돌아갔다. 仲禮及羊鴉仁、王僧辯、趙伯超等, ?開營降景。 중례급양아인 왕승변 조백초등 병개영항경 류중례와 양아인, 왕승변, 조백초등은 모두 병영을 열어 후경에게 항복했다. (僧辯旣已主戰, 奈何降賊?) 승변기이주전 내하항적 왕승변은 이미 전쟁을 주장하나 어찌 적에게 항복하는가? 軍士莫不憤?。 군사막불분완 憤?(한탄할 완; ?-총11획; wa?n):몹시 분하게 여김 군사들이 분하고 한탄하게 여겼다. 仲禮入城, 先往謁景, 然後入見梁主。 중례입성 선왕알경 연후입현양주 류중례가 성에 들어가 먼저 후경을 보러 간 연후에 양나라 군주에게 알현을 들어갔다. 梁主?不與言, 退省乃父, 柳津不禁大慟道:"汝非我子, 何勞相見!" 양주절불여언 퇴성내부 류진불금대통도 여비아자 하로상견 참고문헌 중국역조통속연의 중 남북사통속연의, 삼진출판사, 채동번 저, 번역 홍성민, 페이지 374- 387 하고 싶은 말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61회 62회 한문 및 한글번역 키워드 남북사통속연의, 류중례, 양아인, 왕승변, 후경 |
사립유치원 비리사태와 관련하여 그 여파가 보육시설에도 미치고 있는데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건재하고 제 역할을 잘하려면 어찌해야
사립유치원 비리사태와 관련하여 그 여파가 보육시설에도 미치고 있는데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건재하고 제 역할을 잘하려면 어찌해야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건재하고 제 역할을 하기 위한 방안 2. 본인의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2013년 누리과정 전면 시행 이후 정부의 유아교육에 대한 재정지원 규모는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사립유치원에 대한 재정지원도 상당한 수준이다. 2017년 4월 기준으로 사립유치원은 4,282개원으로 전체 유치원의 47.4%, 사립유치원 교원수는 39,625명으로 전체 52,922명의 74.9%, 사립유치원 재원아수는 552,110명으로 전체 694,631명 중 79.5%를 차지하고 있어 유아교육에서 사립유치원의 역할과 책무가 매우 크다. 사립유치원에 재정지원은 유아 1인당 22만 . . Ⅱ 본론 1.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건재하고 제 역할을 하기 위한 방안 그간 언론보도나 각종 감사 등을 통해 나온 사립유치원의 회계부정사례 등 비리들이 사립유치원 전반의 문제라기보다는 일부의 사례이겠지만 막대한 국민의 세금이 사립유치원으로 지원되고 있다는 점과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사립유치원이 회계부정이나 비리가 있다는 것은 정부와 지역사회-유치원과 부모간의 신뢰 형성에 상당히 저해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순형외, "보육학개론", 학지사, 2006 - 보건복지부, "보육교사 승급교육", 2000 - 강선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연구", 건국대, 2009 - 박용진외, "유치원 비리 근절을 위한 정책 토론", 2018 하고 싶은 말 사립유치원 비리사태와 관련하여 그 여파가 보육시설에도 미치고 있는데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건재하고 제 역할을 잘하려면 어찌해야 할 지 상술하였습니다 키워드 사립유치원 비리, 보육시설, 지역사회,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역할 |
피드 구독하기:
덧글 (Atom)